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년 적립으로 1,000만 원 받는 법? 2025 광주 청년공제사업 공개

by Se♡Jong 2025. 3. 22.
반응형

💸 “2년 동안 적립했을 뿐인데, 만기 때 통장에 1,000만 원?”
이게 가능한 제도가 바로 2025 광주형 청년일자리공제사업입니다.

 

광주광역시가 청년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,
그리고 지역 중소기업의 인재 확보를 위해 운영 중인 이 제도는
매년 많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도움을 주고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달라진 지원 내용, 신청 자격, 혜택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 


✅ 광주형 청년일자리공제사업이란?

광주에 있는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이 2년간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, 기업과 광주시가 함께 돈을 보태줘서
총 1,000만 원을 만들어주는 장기근속+자산형성 프로그램입니다.

 

✔ 청년의 근속 유지
✔ 중소기업의 인재 안정적 확보
✔ 지역경제에 청년 정착 유도

 

를 동시에 실현하는 ‘청년-기업-지자체’ 상생형 모델이에요.


💼 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? (지원 대상 요약)

2025년 기준,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신청 가능해요!

👩‍💼 청년 조건

  • 만 19세 이상 ~ 만 39세 이하 광주 청년
  • 광주 소재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재직 중
  • 고용보험 가입자
  • 월 급여가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(약 330만원 내외)
  • 정부/지자체 자산형성 유사 사업 참여 이력 없는 자

🏢 기업 조건

  • 광주시 내 중소기업(고용보험 피보험자 5인 이상)
  • 청년 1인 이상 정규직 고용
  • 국세 및 지방세 체납이 없는 기업

📌 신청은 기업과 청년이 함께 진행해야 하며, 기업이 먼저 참여 신청을 해야 합니다.


💰 얼마나 적립하고, 어떤 혜택을 받나요?

청년이 2년간 500만 원을 적립하면, 기업과 광주시가 각각 200만 원, 300만 원을 추가 적립합니다.

 

적립 주체 금액 (2년간)

청년 본인 500만 원
참여 기업 200만 원
광주광역시 300만 원
총액 1,000만 원 (만기 시 일시 지급)

 

🎉 2년 근속만 하면 → 총 1천만 원의 자산 형성 가능!
🎯 급여 외 실질적인 재테크 수단으로도 인기가 높아요.


📝 신청 방법은?

📍 STEP 1: 기업이 먼저 신청

  1. 광주청년 통합플랫폼에 접속
  2. 기업 회원가입 후 ‘청년일자리공제사업’ 참여 신청

📍 STEP 2: 청년 신청

  1. 해당 기업과 협의 후, 청년도 개별 신청서 작성
  2. 고용보험 확인, 소득요건 검토 등 심사 절차 진행
  3. 최종 대상자 선정 후 개별 통보

📍 모집 인원

  • 2025년 기준 신규 모집 300명 규모 예정(3월 4일부터 신청!)
  •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선착순 접수 권장!

📣 이런 청년에게 특히 추천해요

✔ 취업 후 자산 마련에 고민 많은 사회초년생
광주 중소기업 재직 중이지만 월급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끼는 분
근속을 고민 중인데, 버티면 돈이 된다면 해볼 만하다고 생각하는 분

💬 “이직 없이 2년만 버티면 천만 원이 생긴다고요? 바로 도전합니다!”
실제 참여자들 후기에서도 **‘퇴사 고민하다가 이 사업 때문에 버텼다’**는 반응이 많습니다.


✅ 마무리: 광주 청년이라면 놓치지 마세요!

2025 광주형 청년일자리공제사업은 근속 = 보상, 지역 정착 = 자산 형성이라는 공식이 성립되는 제도입니다.

 

✔ 매월 20만 원 이상 꼬박꼬박 저축하며
✔ 2년 후 1,000만 원을 손에 넣을 수 있다면
✔ 이보다 현실적인 청년 지원 정책이 또 있을까요?

 

📌 모집 인원이 한정되어 있으니, 지금 광주에 정규직으로 재직 중이시라면 오늘 바로 기업과 함께 신청을 준비해보세요!

📍 신청처: 광주청년 통합플랫폼 바로가기
📞 문의처: 광주광역시 청년정책과 or 각 자치구 청년센터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