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이런 이유로 거절됐습니다! 6+6 부모육아휴직 불승인 사례 5가지

by Se♡Jong 2025. 3. 28.
반응형

 

육아휴직은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지만, 신청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이유로 불승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오늘은 ‘6+6 부모육아휴직제’와 관련해 실제로 거절될 수 있는 사례 5가지를 알려드릴게요.

 

이 사례들을 참고하셔서 미리미리 준비하신다면 불이익 없이 혜택을 누리실 수 있을 거예요!


1. 신청 기한 초과

육아휴직 급여는 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
기한을 넘기면 아무리 조건을 충족해도 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.

  • 예시: 2023년 1월 1일에 육아휴직이 종료된 경우 → 2024년 1월 1일까지 신청해야 함

2. 부모 중 한 명만 육아휴직 사용
(→ 기본 육아휴직급여는 가능, 6+6 부모육아휴직제 혜택은 불가)

6+6 부모육아휴직제는 반드시 ‘부모 모두’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.
한 명만 육아휴직을 쓰면 기본 육아휴직 급여는 받을 수 있지만, 100% 급여 혜택은 받지 못합니다.

  • 예시 ①: 엄마만 육아휴직 사용 → O: 통상임금 80%, 상한 150만 원까지 지급
  • 예시 ②: 엄마 + 아빠 모두 육아휴직 사용 → O: 6+6 제도 적용, 첫 6개월 100% 급여

한 명만 사용해도 육아휴직 자체와 기본급여는 가능하니 걱정 마세요!


3. 자녀 연령 요건 미충족

자녀가 생후 18개월 이내일 때만 6+6 부모육아휴직제 적용이 가능합니다.
분할 사용 시에도, 각 휴직 시작 시점에 자녀가 18개월 이하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.

  • 예시: 2022년 6월 1일 출생 → 2023년 12월 1일까지 육아휴직 시작해야 6+6 적용 가능

4. 고용보험 미가입 또는 피보험 단위기간 미달

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만 받을 수 있으며, 일정 기간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

  • 예시: 최근 입사하여 피보험 단위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→ 급여 지급 불가
  • 예시: 비정규직, 계약직이라도 고용보험 가입되어 있다면 신청 가능

5. 신청 서류 누락 또는 부정확

기본 서류가 빠지거나 정보가 부정확할 경우, 급여 신청이 반려될 수 있습니다.
정확한 서류를 준비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어요.

  • 필수 서류 예시: 육아휴직급여 신청서, 육아휴직 확인서, 임금대장, 근로계약서 등
  • 주의: 서명 누락, 계좌번호 오류, 재직 증명서 미첨부 등의 사소한 실수도 반려 사유가 됩니다

💡 마무리 TIP

  • ✔ 6+6 제도는 부모 모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100% 급여 적용!
  • ✔ 부모 한 명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육아휴직 자체와 기본급여는 충분히 받을 수 있음
  • ✔ 신청 기한, 자녀 연령, 고용보험 여부, 서류 준비 꼭 확인하기

부모육아휴직은 단순한 제도가 아닌, 가족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선택입니다.
불승인을 막기 위해 미리 체크하고 준비해서 꼭 필요한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😊

 

자세한 6+6 부모육아휴직제도가 궁금하다면 → 6+6 부모육아휴직제 총정리

반응형